1. 클라우드 개념
1.1 AWS 클라우드 및 그 가치 제안 정의
AWS 클라우드의 이점
- 보안
- 안정성
- 고가용성
- 탄력성
- 민첩성
-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요금제
- 확장성
- 글로벌 도달 범위
- 규모의 경제
자본 비용 → 가변 비용
클라우드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요금이 절감됨
필요한 인프라 용량을 추정할 필요가 없음(몇 분 만에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
AWS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자가 비즈니스 가치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
- 인프라 관리와 달리 기술 리소스를 수익 창출 활동으로 전환
1.2 AWS 클라우드의 경제성 식별
총 소유 비용 제안의 일부가 되는 품목 정의
- 운영 비용(OpEx)의 역할
- 설비투자비용(CapEx)의 역할
- 온프레미스 운영과 관련된 인건비
-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이 미치는 영향
총 소유 비용(TCO): 시스템의 직접 및 간접 비용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는 재정적 추정
- 온프레미스와 AWS에서 전체 인프라 환경 또는 특정 워크로드를 실행할 때의 비용을 비교
- 클라우드로 이전하기 위한 예산을 책정하고 비즈니스 사례를 만들기 위해
클라우드로 전환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문 식별
- 적정 규모의 인프라
- 자동화의 이전
- 규정 준수 범위 축소
- 관리형 서비스
관리형: 사용자가 EC2에 직접 DB를 설치해 운영하는 경우(DB 설치, 백업, 가용성에 대한 부분을 사용자가 관리)
완전관리형: 사용자가 RDS, DynamoDB와 같은 D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사용자에게 설정이 드러나지 않음)
1.3 다양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원칙 설명
설계 원칙 설명
- 장애 대비 설계
- 구성 요소와 모놀리스 아키텍처 분리
-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에서 탄력성 구현
- 병렬 사고
'Employment Preparation > Certif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CP] 시험 키워드 정리 -3 (0) | 2022.01.20 |
---|---|
[AWS CCP] 시험 키워드 정리 -2 (0) | 2022.01.20 |
[AWS]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준비 (0) | 2022.01.14 |
[AWS] Cloud Practitioner공부 (0) | 2021.08.11 |
[AWS] AWS Certification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