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Network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Border Gateway Protocol (BGP) AS(Autonomous System) 사이의 연결을 위한 것: 최적의 경로를 선택 AS: 자율 시스템, 작은 네트워크 → AS가 모여 인터넷을 형성하는 것 서로 다른 인터넷을 연결하거나 서로 다른 ISP(KT, SKT, LG U+ 등..)와 동시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것 이미지의 상황에선 Option 1이 선택될 것: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경로" 외부 BGP(eBGP): 인터넷상에서 경로 교환 및 트래픽 전송 내부 BGP(iBGP): 자체 내부 네트워크 내에서의 라우팅 BGP hijacking: 각 AS들은 BGP를 이용하는 BGP 라우터들을 가지고 있고 각 BGP 라우터는 AS 간의 최적 경로가 포함된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음 이 라우팅 테..
HTTP VS HTTP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 HTTPS: S =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 "즉 HTTPS는 보안이 강화된 HTTP" HTTPS와 SSL SSL 프로토콜 위에서 돌아가는 프로토콜을 HTTPS라 한다.(SSL ⊃ HTTPS) 나머지 참고) https://opentutorials.org/course/228/4894 HTTPS와 SSL 인증서 - 생활코딩 HTTPS VS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즉 Hypertext 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HTTPS에서 마지막의 S는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로 Secure라는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 URL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URI의 서브셋) "URI는 식별하고 URL은 위치를 가리킨다"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 자원: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문서, 그림 등) 자원의 표현: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DB의 학생정보가 자원이면 'students'는 자원의 표현 상태 전달: JSON 혹은 XML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필요한 이유 애플리케..
yj_oo_
'Computer Science/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