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개발의 일부로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계획 및 인프라 자원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숙련된 지식을 가지고 리드하는 역할(sw개발 프로세스 수립, 운영 / 품질과 효율성, 생산성, 적기 릴리즈)
Principal DevOps Engineer
숙련된 클라우드 기술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관리에 뛰어난 통찰력과 다양한 인프라에 대한 기술을 갖추고 리딩하는 역할(sw릴리스 및 인프라 자동화를 위해 CI/CD 파이프 라인을 자동화 / 클라우드 네트워킹 구성요소의 아키텍처 설계 및 운영)
DevOps Engineer
완전 자동화 된 CI/CD 프로세스 구축을 위해 sw 개발 및 인프라 지원팀과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역할(sw개발 전체흐름 파악 / 배포, 테스트 및 프로덕션 시스템의 유지 관리 시간 및 품질을 향상)
업무 영역
DevOps Manager
- 지속적인 개선에 중점을 둔 운영 및 지침을 제공하는 DevOps 팀을 리드/관리 - sw개발 운영의 로드맵 / 비전 수립 및 계획 - CI/CD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배포에 대한 가이드, 모범 사례 발굴 및 전개 - 운영 절차와 실무를 정의하고 문서화하여 일관성있게 적용되도록 보장 -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팀 내에서 변경 사항을 정리하고 의사결정 - 모든 절차 및 개발 인프라 계약에 대해 최신의 문서가 있는지 확인 - 고객 에스컬레이션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필요에 따라 즉각적인 대응 및 계획 수립
Principal DevOps Engineer
- sw 개발 인프라 아키텍처 설계 및 cost 산정 - DevOps 솔루션을 정의, 설계 및 구현에 있어 주도적인 관리 - CI/CD 환경 구현, 유지 보수 및 개선을 총괄하고 이를 고객에게 presentation - 고객, 서비스 엔지니어링 팀 및 지원 간의 기술 연락 역할 - 기술 문서 및 절차 작성 -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VPN 및 연결 구현, 네트워크와 통합 - sw개발, 인프라 지원팀과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
DevOps Engineer
- CI/CD 프로세스 및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 업무 - sw 개발 흐름을 이해하고 배포, 테스트 및 시스템의 유지 관리 및 개선활동
필요한 기술들
DevOps Manager
- 엔지니어링 리더 경험 10년 이상 -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의 devops 프로젝트에서 5년 이상의 경험 - 클라우드 및 Linux 숙련자 - DevOps, 테스트 및 개발에 대한 전문 지식 -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 관리자 / 아키텍트 - 프로젝트 및 개발 리소스 관리 경험 -네트워크 및 IT 인프라에 대한 이해 - 고급 스크립트 언어 스킬(Python, Bash, JavaScript, Perl) - Jenkins, Ansible 및 Artifactory와 같은 도구를 사용한 CI/CD 시스템을 개발하고 테스트 및 구성하여 DevOps 환경을 개발한 경험 - 효율성, 비용 절감 및 지속적인 개선 기회를 주도하고 기획
Principal DevOps Engineer
- DevOps 엔지니어 또는 설계자로서 최소 5년 이상의 경험 - 성과 평가 책임을 가진 팀 리딩 역할 능력 - Linux 기반 환경에서 sw개발 및 sw 테스트 방법론과 변경 및 구성 관리 실무에 대한 이해 -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AWS, Azure 및 Google Cloud 및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에 대한 구축 경험 및 이해 - CI/CD 환경 구축 및 운영 경험 - 컨테이너 기반 환경에 대한 전문 지식(Docker) - 인프라 자동화 도구에 대한 전문 지식(Puppet, Chef, Ansible) - 고급 스크립트 언어 스킬(Python, Ruby, Perl) - 디자인 패턴 및 리팩토링 개념의 이해 - VPN, CIDR, 서브넷, 인증서 관련 사운드 네트워크 지식
DevOps Engineer
- 개발 및 생산을 위한 CI/CD 파이프 라인 구축에 대한 이해 및 경험 -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이해 및 경험 -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기반 기술 이해 및 경험 - 리눅스 환경에 대한 전문 지식 - 기본 스크립트 언어 능력 : Pyhton/Bash/Perl 등 - Ansible과 같은 구성 관리 도구 사용 경험 - Jenkins 이해 및 경험 - 소스제어(Bitbucket, Gerrit, Gitlab 등)에 대한 깊은 이해 - 모니터링(Grafana, Prometheus) 서비스 구축 경험
❗ DevOps가 나온 이유가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서 빠르게 릴리스를 하기 위해 나온듯하다...? 개인적인 생각일 뿐.. 막 새로운 테스트에 대해 고민하고 하다 보니 여러 테스트 방법들이 나왔고 이 과정을 자동화하면 더 빠르게 서비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
❗ 개발을 하면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 반복적인 일을 줄일까? 인프라 담당자, CI/CD를 주로 하는 형상관리업무, 개발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조금씩 확장시켜 나가면 DevOps 엔지니어의 길로 갈듯..? ❗